스드메 정의 평균 가격 결혼식 준비요소 고려사항 최근 트렌드
결혼식을 준비하는 사람들이라면 스드메를 먼저 고려할텐데요, 스드메는 결혼식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세가지 요소로 구성된 줄임말입니다. 스튜디오 촬영, 드레스 대여, 메이크업 세 가지를 합쳐서 부르는 용어인데요, 스드메가 생긴 이유와 구성 요소, 가격, 최근의 트렌드와 선택 시 고려해야 할 사항 등을 알아볼게요.
스드메의 정의
스드메는 결혼식의 필수 세 가지 요소를 말합니다.
스튜디오 촬영은 결혼식 전에 예비 부부가 스튜디오를 선택하고 예약을 합니다. 스튜디오는 다양한 액자와 앨범 제작, 청첩장 및 포토테이블, 식중 영상 재생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을 하죠.
드레스 대여는 스튜디오 촬영용 드레스와 결혼식장에서 입을 드레스를 말하는데요, 예비 부부는 드레스 투어를 통해 다양한 드레스를 착용해볼 수 있습니다. 스튜디오 촬영과 결혼식에서 입을 드레스를 선택하는 것은 스드메 준비 과정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메이크업은 웨딩 촬영과 결혼식 당일 받는 화장을 의미합니다. 메이크업을 전담해줄 업체를 선택해야 하는데요, 웨딩 플래너와 상담하여 실력과 서비스, 가격 등을 확인하고 그중에서 가장 나은 업체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스드메 가격
스드메의 가격은 선택한 업체와 옵션에 따라 큰 차이가 있습니다. 최근 기사에도 논란이 되고 있는데 스드메의 평균 가격이 부르는대로 오른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130만 원에서 시작, 300만원 그 이상의 가격까지도 부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스냅 사진이나 DVD 처럼 추가 옵션에 따라 가격이 더 올라갈 수 있습니다. 한 두 군데의 업체만 보는 것이 아니라 여러 곳에서 비교 견적을 내보고 부담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스드메 최근 트렌드
웨딩플레이션이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로 최근 스드메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오르고 있습니다. 웨딩과 인플레이션을 합친 용어인데 결혼식장 대관 비용을 제외하고도 스드메를 준비하는 데 몇 백 만원이 들다 보니 신혼부부 입장에서는 부담을 느낄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작년의 스드메 평균 비용이 200만 원 선이었지만 2024년에는 300만 원으로 올랐고 2025년 역시 그보다 더 오르지 않을까 싶습니다. 이런 가격 상승 분위기를 보았을 때 차라리 빨리 준비하는 것이 돈을 아끼는 방법일 수도 있습니다.
스드메 추가금 문제, 가격 자율 공개
스드메의 불공정 약관 역시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결혼 대행업체에서 필수 서비스임에도 이를 별도 옵션으로 나눠서 판매하는 것이 부당한 약관이라고 시정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2024년 12월 27일부터 결혼식장 대관료와 결혼준비 대행업체의 사진 촬영과 드레스 대여, 화장 등 스드메 가격이 자율 공개됩니다.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주요 결혼식장, 웨딩 플래너 업체와 업무협약을 맺어 서비스 가격을 자사 홈페이지 또는 한국소비자원 '참가격'에 공개하기로 했는데요, 이러한 가격 공개가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계약할 수 있는 방안이라 환영받고 있는 분위기이며 진작에 빠르게 시행했었더라면 피해자도 줄일 수 있었을텐데 아쉽습니다.
'일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거킹 통모짜와퍼 재출시 기념으로 달려가봤습니다 (1) | 2025.04.09 |
---|---|
다이소 원예용품 기획전 플랜테리어 원예 좋아하는 분들에게 희소식 (1) | 2025.04.04 |
프리드 VS 보람상조 가격 서비스 장단점 비교 상조회사 가입상품 (1) | 2025.01.22 |
무료문자사이트 단체문자 발송 방법 컴퓨터 PC 문자발송 (0) | 2025.01.22 |
레퍼런스 체크 직접 해본 후기, 직장 동료와의 관계에 대하여 (0) | 2025.01.21 |